Product Consulting
home
아마존워킹백워드
home

20. 외국계 회사에서 재입사(부메랑)가 흔한 이유

20년의 경력에서 '부메랑' 채용을 자주 목격했으며, 심지어 두 번째 재입사('더블 부메랑')도 몇번 보았다. 흥미롭게도, 외국계 기업에서는 이직 후 재입사가 오히려 개인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나갔다 들어와야 몸값이 올라간다"는 말은 이제 흔한 농담이자 진담이다.
1. 실용주의적 접근: 성과 중심의 채용 전략
외국계 기업들은 채용 과정에서 철저히 실용주의적 접근을 취한다. 그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누가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성과를 낼 수 있는가'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이전 직원의 재입사는 여러 장점을 제공한다.
기업 문화와 업무 프로세스에 대한 즉각적인 이해
짧은 적응 기간과 빠른 생산성 향상
기존 네트워크를 활용한 원활한 협업
2. 문화적 차이: 충성도에 대한 해석
요즘 국내 기업도 재입사의 사례가 늘고 있지만 여전히 퇴사를 바라보는 시각이 조금 다른거 같다.
이직을 '배신‘까지는 아니더라도 '충성심 부족'으로 간주하는 경향
장기 근속을 높이 평가하는 문화
C레벨은 외부 영입도 많지만 내부 승진을 선호하는 인사 정책
3. 인재 관리의 글로벌 트렌드: 다양성과 유연성
외국계 기업들은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인재를 중요시한다. 한기업에서의 긴 근속기간(업무범위나 직무 변경없이)은 상대적으로 매력도가 큰 인재로 보지 않는다.
외부 영입을 통한 새로운 아이디어와 시각의 유입
다양한 산업 경험을 가진 인재 선호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한 인재 풀 확대